소취. 즉, 냄새를 제거한다는 것은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포름알데히드가 특이한 향을 가진 휘발성 기체이므로,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한다는 것도 소취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새집증후군이나 가구 냄새 등도 결국은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해서 유해한 냄새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소취에는 물리적 화학적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여기서는 비용을 따로 들이지 않고 간단히 할 수 있고 효과가 완벽하다고 이야기되는 베이크아웃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문적인 새집증후군 시공의 비용이 제법 들다보니,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손쉽게 시도할 수 있는 베이크아웃이 인기입니다.  어떤 분은 이것이 포름알데히드 제거의 완벽한 방법이라고 극찬을 하기도 합니다.
(몇 시간 동안 집전체를 고온으로 데워줄 보일러 도시가스 비용과 시간 맞춰 창문 열고 환기시켜주는 본인 노력만 있으면 됩니다.  이것을 기간을 두고 4~5번 하는 것입니다. )

 

건축자재와 인테리어 자재들 중 상당수가 포르말린 베이스의 수지가 주원료로 들어갑니다.  

합판이나 MDF는 나무슬라이스나 목분등을 포르말린 베이스의 수지와 반죽한 후 압축성형 해놓은 것입니다.  쉽게 말해 제품 겉 부분이 아니라 내부에 까지 포름알데히드가 꽉 차있는 상태입니다.  

실크벽지는 부착할때 본드로 시공했기 때문에 벽지 아래쪽이 전부 포름알데히드입니다.  

데코타일도 마찬가지로 제품아래쪽이 모두 포름알데히드가 원료인 본드입니다.  

 

포름알데히드는 휘발성이므로 가열하면 더욱 활성화되는 것은 맞습니다만,  제품 내부나 제품 하부에 위치한 포름알데히드까지 베이크아웃 몇 번에 어떻게 한꺼번에 다 빠져나와서 사라진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베이크아웃으로 포름알데히드가 완벽히 제거된다는 명제가 사실이 되려면, E2등급 합판이나 MDF등을 똑같이 실내에 쌓아두고 몇 번 베이크아웃을 하면 모두 E0등급 이상 친환경 등급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제조단계에서 적용하면 비용도 적고 간단합니다. 

 어떤 제조사가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E0등급이상 친환경자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데 마다 하겠습니까?  제조사들이 이렇게 간단하고 손쉬운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제품 내부나 하부에 깊이 침투해 있는 포름알데히드는 가열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는 단시간에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두터운 외투에 김치국물이 살짝 튄 것은 잘 말려서 털어내거나, 부분 세탁을 할 수도 있습니다.  냄새도 별로 않납니다.  하지만 김치 단지를 옮기다가 잘못돼서 김치 국물을 흠뻑 뒤집어쓰면 어떻게 될까요?   두꺼운 외투 전체에서 김치 국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로 푹 젖었다면 베란다에서 말리거나 털어서는 해결이 안 됩니다.  

 

제 지인중에 명절에 시골에 다녀올 때 부모님께서 주신 까나리 액젓이 (500ml 페트병) 트렁크 속에서 넘어지면서 일부가 유출되었는데, 결국은 차를 바꿨습니다.   트렁크에서 쏟아졌는데, 실내로 냄새가 계속 넘어 옵니다.   락스 뿌리고 실내 세차하고 별짓을 다해도 냄새가 없어지지 않습니다.  수없는 세차를 하고 락스 뿌리고 몇 개월이 지났는데도,  차 문을 여는 순간 차 안에서 재래식 화장실 냄새가 확 ~ 납니다.  트렁크 내 매트와 구조물 사이 구석구석에 냄새가 베여서 없어지지 않습니다.

 

물론 김치냄새나 까나리액젓 냄새는 포름알데히드 냄새와는 성분과 작용기전이 차이가 나지만, 냄새라는 것이, 특히 강하게 침투해있는 냄새를 없앤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를 돕기 위해 인용했습니다.

 

베이크 아웃은 단기적으로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휘발성인 포름알데히드의 성질을 이용해 집안을 고온으로 가열해서 포름알데히드가 대량으로 방출되도록 유도한다음, 일정 시간 후에 포름알데히드로 꽉 차 있는 집안의 공기를 바깥으로 빼내면 당연히 실내공기질이 상쾌하게 변하겠지요.   

문제는 실내가 그다지 친환경적이지 못한 자재들로 가득 채워져 있고, 베이크아웃 후에도 포름알데히드는 계속 방출된다는 것입니다.   원래 농도대로 복귀되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베이크아웃을 며칠을 간격으로 몇 회 반복 실시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4~5번 반복해도 완벽 제거는, 아니 절반 제거도 않됩니다.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것이 거실에서 삼겹살 구워먹고 그 냄새 없애는 것보다 난이도가 높습니다.

 

분명한 것은 베이크아웃 하는 당시에는 단기적으로 효과가 분명히 있으니, 안 하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베이크아웃이 포름알데히드를 완벽히 제거할 수 없다는 것도 이해하셔야 합니다.

목재, 합판등의 건축자재와 가구는 포름알데히드와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건축과 인테리어에 쓰이는 합판, OSB합판,MDF 등은 본드를 대량으로 사용하여 생산한 대표적 합성목재 입니다.   

(전원주택에 사시거나, 벽난로 등이 있으신 분들은 합성목재를 태우면 어떻게 되는지 잘 아실겁니다.  천연목재와 달리 접착재 성분이 타면서 시커먼 연기와 유독가스를 마구 뿜어냅니다.)

 

철근콘크리트나 목조주택이나 조립식판넬이나 할것 없이, 실내마감에는 공통적으로 목재가 마감자재로 들어갑니다.   벽체, 천정, 마루 등등 곳곳에 들어갑니다.  물론 합성목재들 입니다.   포르말린 계열의 접착재를 사용한 자재들이 실내를 완벽하게 감싸는 구조가 되는 것입니다. 

 

MDF는 분말이나 입자 상의 목재를 접착제(본드)와 반죽해서 열과 압력을 가해 판상으로 가공한 합판입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쉽게 자르거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등 가공성도 아주 우수합니다.  요즘 새로 입주하는 주택이나 아파트의 붙밖이 싱크대나 가구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물론 표면에는 시트지를 바르거나 코팅하여 원목느낌을 주지만, 내부나 뒷면을 보면 제조 상태 그대로 입니다.    MDF를 만들때 사용한 그 접착재가 바로 포르말린 계열의 수지입니다.  (포르말린은 기체인 포름알데히드를 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액상으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가구나 인테리어 마감재들은 온도 등의 조건이 충족되면, 제품 으로부터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어 실내에 가득차게 됩니다.  OSB합판이나 일반합판도 마찬가지 입니다.

 

일반인들이 원목가구로 인식하고 있는 집성목도 마찬가지 입니다.  물론 MDF / OSB, 일반합판 처럼 나무가루나 조각, 슬라이스는 아니지만, 좀 더 굵고 부피감 있는 각재를 접착재를 이용하여 여러 개체를 이어 붙인 것입니다.   굳이 알데히드 검출장비를 동원할 필요없이, 근처에 난로가 있으시다면 한번 집어넣어 보시면 바로 눈으로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원목은 무조건 친환경적이라는 인식도 문제입니다.   우리 선조들이 대장경을 만들때 처럼 원목을 바닷물에 몇년씩 담궈두거나, 갯벌에 몇년씩 묻어두면 더 없이 친환경적이고 좋은 제품이 되겠으나, 경제성 면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이야기가 됩니다.  <작품>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일부 고가의 소장용 수제가구를 제외하면, 중저가의 일반 대중적인 가구는 원료를 그렇게 친환경적으로 가공할 수가 없을 겁니다.  가끔 대형목재를 사용한 원목가구들도 있지만, 자연원목 자체가 습기로 인한 곰팡이나 변형, 뒤틀림, 스크래치 등에 약하기 때문에 방부 처리는 필수입니다.   심한 경우 원목을 포르말린으로 가득 채운 욕조에 넣고 통째로 고온 고압으로 STEAMING 시킵니다.    거실에 원목소파 세트를 들여놓았는데, 거실소파에서 TV보거나 자고 일어나면,  눈주위가 가렵고 눈물이 흐르거나 몸이 가렵다는 분들 많습니다. 

 

이런 포르말린 계열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합성목재들을, 마감자재로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하거나, 가구로 제작하여 실내에 들여놓게 되면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그 후유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더 안타까운 것은 건장한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노약자나 영유아, 어린이 등이 더 심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알데히드버스터 제품군에는 이러한 목재류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해주는 GRADE 들이 있습니다.  

  • 합성목재의 제조과정에서 수지(접착제)에 혼입시키는 GRADE가 있는데, 이것은 근원적이고 효과면에서도 영구적에 가까운 포름알데히드 제거 방법입니다.  (원재료에서 포름알데히드를 아예 제거해 버리는 방법)

  • 시공전 고침투성 알데히드 버스터를 합성목재에 도포하여 전체 면적을 균일하게 전처리하는 GRADE가 있습니다.

  • 시공후 노출된 마감재나 가구배면(비닐이나 시트지처리 않된)등에 후시공하는 GRADE도 있습니다.  

알데히드 제거 효과나 지속성 면에서는 원재료에서 아예 차단을 시키거나, 시공전에 전체 목재 자재에 고침투성 약재로 균일 시공해주는 것이 월등히 뛰어납니다. 

 

마지막의 후시공하는 방법은 이미 완성되어 있는 주택이나 아파트에 입주한 경우의 분들이 해당되는데,  도배나 마감을 뜯어내고 약품시공을 할 수가 없기에 후시공 이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새집증후군 처리 업체나, 입주청소 업체들이 시공하는 방법인데, 효과 뛰어난 약제를 써서 꼼꼼히 시공을 한다면 이 또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저희는 시험적으로 수도권(강남 및 경기남부권)의 몇몇 건축사 및 인테리어 회사와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주로 고급 전원주택, 아파트 인테리어를 진행하시는 업체들인데, 이 회사들의 경우 자체 자재창고에서 모든 자재에 알데히드버스터로 전처리 후 건조과정까지 거쳐 모듈별로 현장에 옮겨져 시공에 들어갑니다.   

고객분들 중에 상당수가 입주하시기 전에 포름알데히드 측정을 요구하시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상황이 이렇게 되었습니다.    건축사나 인테리어 업체로서도 모든 자재를 <친환경>마크가 찍힌 자재를 사용했지만, 고객앞에서 포름알데히드 수치가 마구 치솟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이제 직접 포름알데히드 제거를 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건축이나 인테리어쪽 실무를 하시는 분들은 이 상황을 금방 이해를 하실 겁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