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들이 가정을 제외하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 회사 사무실, 병원, 대형마트, 쇼핑몰, 호텔 등 다중이용시설인데, 이런 곳들도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자재들이 주택이나 아파트와 대동소이 하기 때문에 포름알데히드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사무실을 가득 매운 가구들은 고가의 고급원목가구가 아닙니다.  MDF 등의 합성목재를 사용한 시스템가구 들입니다.   바닦은 본드로 시공한 데코타일 일것이고, 천정은 석고텍스마감재, 벽체는 합판이나 석고보드 마감.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사무실의 모습입니다.   아토피가 있거나 알러지가 있는 사람들중에 사무실에 출근만 하면 눈이 가렵거나 따가움, 피부가려움 등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강남의 대형빌딩에 있는 외국계회사가 있는데, 이 회사에서 대형 임원회의실의 천정과 실크벽지 도배를 모두 교체하는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문제는 인테리어 완료 후 외국인 및 내국인 임원들이 회의실 입실을 거부하는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회의실에 있으면 눈이 따갑고 피부가 몹시 가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한 것입니다.   물론 지금은 해결이 된 상황입니다.

 

물론 현장에 반입되는 자재들은 대부분 <친환경> <1등급> 이런 표시가 분명히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왜 시공후 유해물질을 측정하면 <친환경>이나 <1등급> 표시가 무색한 결과들이 나오기도 하는 것일까요?

 

 

 

병원의 경우는 작은규모의 수술이 잦은 성형외과 등에서는 수술기구 등 기구류 소독이 많을 것입니다.   물론 포르말린 계열의 약품들이 살균효과 등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이 경우 병원의 특성상 특정인원이 해당업무를 고정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서 소수의 특정인들이 위험에 노출될 것입니다.   또한, 병원 역시 내부 인테리어에 쓰인 소재나 마감재등이 회사 사무실 등과 대동소이 하다는 것입니다.   MDF 시스템 가구와 본드로 붙인 데코타일, 그리고 석고보드 벽체, 텍스천정.

 

호텔이나 백화점 등의 쇼핑몰, 대형마트 등은 상황이 다를까요?

 

시공업자 분들은 분명히 친환경표시가 되어있는 자재들만 사용했을텐데, 결과는 친환경적이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시공사 별로 자신들이 사용할 자재를 알데히드버스터 같은 전문약품으로 처리한 후 시공에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차별화 전략으로 가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